재테크 정보

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금리 0.2% 인상 25.03.24

버니핀 2025. 3. 31.

 

 

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금리 인상

 

1. 25.03.24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금리 인상

2025년 3월 24일부터 버팀목전세대출 금리가 0.2% 인상되었습니다.

지방소재의 경우 0.2% 인하가 되어서 사실상 수도권지역 대출금리 인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.

 

2025.03.24

 

자세한 내용은 아래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.

 

주택도시기금

주택도시기금 소개, 주택구입(내집마련디딤돌 등), 전세자금, 월세대출, 국민주택채권, 주택청약, 신혼부부대출

nhuf.molit.go.kr

 

2. 버팀목 대출 금리 인상 히스토리

1) 인상전

최저 1.5% ~ 최고 2.1% 였던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대출 금리

 

2) 2023.08.30 - 0.2%~0.4% 인상

청년 버팀목 대출 금리는 2023년 08월 30일 0.3% 인상되어 

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금리는 최저 1.8% 최고 2.7%가 되었다. 

3) 2024.08.16 - 0.2% ~0.4% 인상

청년 버팀목 대출 금리는 2024년 8월 16일 0.2%에서  0.4% 인상되어

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금리는 최저 2.0% 최고 3.1%가 되었다. 

 

4) 2025.03.24 - 수도권 소재지 주택 0.2% 인상

청년 버팀목 대출 금리는 2025년 3월 24일 수도권 소재지 주택에 한해 0.2%인상되어

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금리는 최저 2.2% 최고 3.3%가 되었다. 

 

📈 최종 금리 인상 차이

연소득 2025.03 2024.08 2023.08 2023.03 최종 인상
~ 2천만원 이하 2.2% 2.0 % 1.8 % 1.5% 0.7% 인상
2천만원 초과 ~ 4천만원 이하 2.5% 2.3 % 2.1 % 1.8% 0.7% 인상
4천만원 초과 ~ 6천만원 이하 2.9% 2.7 % 2.4 % 2.1 % 0.8% 인상 
6천만원 초과 ~7.5천만원 이하 3.3% 3.1 % 2.7% - 0.6% 인상

 

 

📌 23년부터 25년까지 약 2년동안 0.6% 에서 0.8%까지 인상된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금리

 

버팀목 전세대출 금리 인상 이유

1. 안정적인 기금 운용 및 대출쏠림 방지

기금 대출은 무주택 서민 주거지원을 위한 저리대출이다. 안정적인 기금 운용 및 대출쏠림 방지를 위해 시중 대비 1%p 이내 일정 금리차를 유지해야 하나, 최근 2~3년 사이 금리차가 커져 이를 조정할 필요성이 제기됐다.

출처 : 한스경제(http://www.hansbiz.co.kr)

 

 

주택기금 감소…내일부터 수도권 디딤돌·버팀목 금리↑

주택도시기금 감소 우려가 계속돼온 가운데, 주택도시기금 지원을 받는 디딤돌·버팀목 정책대출 금리가 수도권에 한해 인상된다. 2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디딤돌 주택구입 대출과 버팀목 전

n.news.naver.com

 

 

2. 세수 결손

주택청약저축 가입자들이 낸 돈으로 조성한 주택도시기금에선 기존 발표액(2조~3조원)보다 최소 2000억원 많은 3조2000억원을 전용했다. 기재부는 주택도시기금 예산으로 세수결손을 메우면서 올해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예산을 지난해보다 2조5000억원(15.4%) 삭감해 논란이 된 바 있다.

 

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32/0003355859?sid=101

 

[단독] 기재부 ‘세수결손 돌려막기’···산재기금까지 털었다

기획재정부가 지난해 세수결손을 메우기 위해 ‘기금 돌려막기’를 하면서 노동자의 업무상 재해를 보상하기 위한 산재보험기금에서까지 1조6000억원을 끌어다 쓴 것으로 확인됐다. 환경오염을

n.news.naver.com

 

 

 

댓글